사단법인 나눔과미래

커뮤니티

활동가의시선

사단법인 나눔과미래는 집 걱정없는 행복한 마을을 만드는 우리 마을 보금자리 지킴이 입니다.

주거환경관리사업 책 발간> 다같이 돌자 동네 한 바퀴~

페이지 정보

나눔과미래  16-07-14 14:50 

본문

561f7edeeea9fc03bc2c7b277604013c_1592802761_6283.jpg 


생생한 주거환경관리사업의 현장 기록

다같이 돌자 동네 한 바퀴

 

 

나눔과미래에서 책을 냈습니다~~~ 와아~~~~~

 

재개발사업의 대안 중 하나인 주거환경관리사업에 대한 이야기들을 

활동가의 시각에서 담아보았습니다.

2014년 정릉동 삼덕마을과 정든마을, 월곡동 삼태기마을에서

주민들과 만나며 울고 웃었던 이야기들..

삼덕마을 김현정 활동가, 정든마을 전문수 활동가, 삼태기마을 정은영 박하연활동가

이렇게 네 명이 각자 꼭지를 맡아 마을의 이야기들을 써냈고,

함께 했던 단체들과 용역사인 건축사사무소, 총괄계획가 등이 글쓰기에 참여해주셨습니다.^^

 

각 마을에서 땀흘린 활동가들의 정성과 마음이 가득 담겨 있습니다.

늦은 밤 퇴근못하고 사무실에서, 집에서 글을 쓴 고단함도 묻어있습니다.ㅎㅎㅎ

이 책이 주거환경관리사업을 시작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책이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로 들어가셔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http://goo.gl/forms/9iXKBstJkV

 

 

- 책 판매 관련 안내 -

1. 책은 1만원의 후원금을 받고 있습니다. (나눔과미래 회원은 5,000원^^)

   (후원계좌 : 농협 026-17-001801 (사)나눔과미래))

   후원금은 이후 나눔과미래에서 진행할 마을활동비 등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2. 우편요금은 별도입니다. 

   1권은 3000원 2권은 4000원이고, 3권 이상은 착불택배로 보낼 예정입니다. 

   등기우편 혹은 택배로 보내오니 수령 가능한 주소를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목 차-

 

책을 펴내며

 

주거환경관리사업은?

 

이 책에 소개되는 마을

- 삼덕마을 

- 삼태기마을

- 정든마을

 

1장. 만남

1.1 마을을 어슬렁어슬렁

1.2 사람 냄새나는 삼태기 마을

1.3 시간 + 헌신 = 신뢰

 

생각 1. 물리적 재생을 넘어선 주거환경관리사업, 사람과의 만남이 정답

          : 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인터뷰 1 : 삼덕마을 주민 릴레이 인터뷰

 

2장. 주민 속으로 들어가다

2.1 주민이 만들어가는 워크숍

2.2 동네방네 마을 워크숍을 알리다

2.3 용역사 홀로 워크숍, 뒷일은 주민의 몫

2.4 주민워크숍 진행과정 예시

 

인터뷰 2 : 삼태기마을 주민협의체 정진국 위원장

 

3장. 마을과 함께하고 싶은 또 다른 단체의 발견

3.1 성북정보도서관 : 요즘 서울에 이런 동네가 또 있을까

3.2 정릉종합사회복지관 : 에너지자립마을 3년차, 주거환경관리사업과 만나다

3.3 성북구마을만들기지원센터 : 마을만들기에서 본 주거환경관리사업의 의미

 

4장. 함께하는 마을살이

4.1 삼덕마을이 시끌시끌

4.2 차없는 골목 놀이마당을 통한 정든마을의 변화

4.3 어린이들도 할 말 있어요

 

인터뷰 3 : 정든마을 주민협의회 강신영 총무

 

5장. 마을을 위한 주민들의 이야기

- 5.1 꽃보다 아름다운 삼덕마을 사람들

- 5.2 우리 주민한테 좋은 것 주겠다는데

5.3 주민이 참여하는 시공, 필요하면 ‘갑질’도

 

생각 2. 주거환경관리사업 : 관계 위에 세우는 마을공동체 만들기

           : PMA ENG+도시환경연구소

 

6장. 우리 마을 주민공동이용시설

- 6.1 마을 민주주의를 위한 한걸음

- 6.2 우리의 소원은 마을회관

- 6.3 갑작스런 커뮤니티시설 계획 변경에 멘붕, 그래도 “고쳐주기만 해”

 

생각 3. 엑서지 개념에서 본 주민공동이용 시설의 에너지 효율적 이용방안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7장. 주거환경관리사업 할 말 있습니다

- 7.1 일관성있는 계획을 수립하려면

7.2 사업시행자 육성의 문제

7.3 마을 밖에서는 일할 수 없는 자문계획가

7.4 매달 50만원을 그 달 안에?

7.5 제도 변화로 주민 혼란은 이제 그만

7.6 주거환경관리사업 좀 쉽게 안되겠니?

 

생각 4. 주거환경관리사업 과정을 생각하며

          : 삼태기마을총괄계획가

 

부록. 마을회관에서 무엇을 해야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