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과미래 소개
나눔과미래
걸어온 길
조직
오시는 길
나눔과미래 활동
사무국
성북주거복지센터
종로주거복지센터
아침을여는집
따뜻한사회주택기금
주거재생팀
서울양천지역자활센터
커뮤니티
공지·알림
재정보고
활동가의시선
후원자의시선
자료실
뉴스레터 구독 ✉️
후원신청 💕
나눔과미래 소개
나눔과미래
걸어온 길
조직
오시는 길
나눔과미래 활동
사무국
성북주거복지센터
종로주거복지센터
아침을여는집
따뜻한사회주택기금
주거재생팀
서울양천지역자활센터
커뮤니티
공지·알림
재정보고
활동가의시선
후원자의시선
자료실
커뮤니티
Home
나눔과미래 소개
나눔과미래 활동
커뮤니티
공지·알림
재정보고
활동가의시선
후원자의시선
자료실
활동가의시선
사단법인 나눔과미래는 집 걱정없는 행복한 마을을 만드는 우리 마을 보금자리 지킴이 입니다.
전체 850건 32 페이지
제목
날짜
작성자
두꺼비하우징
나눔과미래
16.07.14
461
2016-07-14
나눔과미래
석관동 한천마을 주민공동체모임이 선진지 견학을 다녀왔습니다.
[선진지 견학! 강북구 양지마을을 다녀왔습니다] 석관동 한천마을 주민공동체모임은 주거환경관리사업 착수로 작년 가을부터 활동을 시작한 새내기 주민 모임입니다~. 그래서 한천마을보다 더 오랫동안 마을 공동체를 운영하고 지속하고 있는 선진 마을에 가서 많은 것을 보고 배워보기로 했습니다. 날짜를 7월 4일(월) 오전으로 정하여 주민공동체 주민들과 …
나눔과미래
16.07.14
620
2016-07-14
나눔과미래
뿌리조직 없는 지역의 주민관계 형성, 시작
정릉동에서 '우리동네 행복한 골목마을 만들기'라는 새로운 사업을 시작했다. 사업 공고에는 이웃간 협업으로 특색있는 골목마을 만들기를 시행해 봄으로써 향후 활동의 주체가 될 수 있게 하기위한 것이라고 나와 있었지만, 사업을 계획하던 우리는 뿌리조직 하나 없는 이 동네(?)에서는 사업기간이 6개월 뿐인 올해에는 없던 주민관계를 형성…
나눔과미래
16.07.14
461
2016-07-14
나눔과미래
[활동가의 시선] 돈의동 쪽방촌 방문기
어느 지역이나 쪽방촌은 열악하다. 더럽고, 비좁고, 낡았고, 어둡고, 불안하다. 하지만 이 모든 열악함보다 내 눈에 충격적으로 들어왔던 것은 그 곳에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이었다. 일반적인 건물이라면 담이 있어야 할 외벽에 낡은 미닫이문이 있고, 그 문 사이로…
나눔과미래
16.07.14
991
2016-07-14
나눔과미래
“함께하는 성북의 도시재생”? 모여서 이야기 합시다
장수마을로부터 시작된 성북구 지역의 도시재생사업은 몇 곳의 주거환경관리사업과 장위동 도시재생사업 지역을 무대로 관련 민간조직이 구역별로 공동체 활성화와 사회∙경제적재생을 위한 개별화된 실천을 해 왔습니다. 하지만 복잡다기한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다양한 민간협업이 필수적입니다. 가령 강북구 같은 경우에 노후화된 주거지가 밀집된…
나눔과미래
16.07.14
457
2016-07-14
나눔과미래
2016년 나눔과미래와 함께 할 청년혁신활동가를 모집합니다.
사단법인 나눔과미래와 함께할 도시재생코디네이터 청년혁신활동가를 찾습니다. 도시재생코디네이터 활동으로 지역 자원 조사, 주민공동체 활성화 프로그램 실무 지 원 및 운영 지원, 주민 홍보 기획 및 소식지 발행 등입니다. 도시재생을 통해 감동, 사랑, 희망이 넘치는 지역사회를 함께 만들어보고 싶은 젊은이!! 드루와! 드루와!! 자세한 내용은 아래…
나눔과미래
16.07.14
415
2016-07-14
나눔과미래
2015년 성곽마을 지원사업 성과보고서가 나왔습니다~~.
드디어 지난 1년 간의 성곽마을활동을 담은 2015년 서울성곽마을 지원사업 성과보고서가 나왔습니다~. 서울성곽마을은 서울의 중요한 역사문화자산인 한양도성 인근에 연접한 주거지를 말합니다. 그 동안 성곽마을은 한양도성의 보호를 위해 철거되어야 할 공간 또는 노후화되고 정비되어야 할 대상으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
나눔과미래
16.07.14
553
2016-07-14
나눔과미래
"부암동 골목장"이 성황리에 끝났습니다.
지난 8월 29일 토요일 부암동 주민센터와 무계원에서 “부암동 골목장”이 있었습니다.
나눔과미래
16.07.14
537
2016-07-14
나눔과미래
[주거재생]도시재생 주민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보고서 발간
나눔과미래 주거재생팀에서 사회투자지원재단과 함께 '도시재생 주민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보고서를 발간하였습니다. 재개발의 폭력성에 대한 대안으로 도시재생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도시재생사업은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해 주민들 스스로 주인의식을 갖고 사업에 참여하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
나눔과미래
16.07.14
422
2016-07-14
나눔과미래
[성곽마을 주민 네트워크 모임] 도시농업에 대해 알아봅시다!
[성곽마을 주민 네트워크 모임] 도시농업에 대해 알아봅시다! -일시: 2015.7.22 (수) 10:00~13:00 -장소: 교남동 주민 센터 2층 회의실 이번 네트워크 모임의 주제는 마을을 더 풍요롭게 꾸미는 도시농업입니다. 빈 공간을 활용해 마을을 아름답게 만들고 주민들에게 값진 열매도 주는 무엇…
나눔과미래
16.07.14
468
2016-07-14
나눔과미래
성곽마을 부암동권역에서 간담회가 있었습니다.
*모든 사진은 클릭하면 더 크게 보실수 있습니다. 주거재생팀에서 진행하는 성곽마을만들기사업의 일환으로 부암동권역에서 주민들과 마을 공동체 활성화에 대한 내용의 간담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난 5월 27일에는 부암동 카페주체들과 주민들과 함께하는 첫 번째 간담회 자리가 있었고, 6월 15일에는 두 번째 간담회를 진행…
나눔과미래
16.07.14
499
2016-07-14
나눔과미래
성곽마을의 3가지 관점에 대한 극복 필요와 대안
성곽마을의 3가지 관점에 대한 극복 필요와 대안 관점 1) 시민에게는 장점이지만 성곽마을 주민에게는 장애인 한양도성 성곽마을주민들은 한양도성과 인접해 있어서 필연적으로 일정한 제약 속에서 삶을 영위해 나가게 마련이다. 한양도성이 있음으로 인해 한양도성이라는 문화재 보호와 관리를 위해 주택 개량…
나눔과미래
16.07.14
474
2016-07-14
나눔과미래
사회적 기업 ‘동네 목수’의 박학룡 대표 인터뷰 "성곽 마을과 마을 운동"
-개인적으로 마을 운동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나의 첫 관심은 마을이라기보다는 주거권에 있었다. 서울의 많은 사람들이 자기 집이 없고 불안한 주거 상황에 놓여있는 현실을 보았을 때 나는 여전히 절대적 빈곤이나 먹는 것을 걱정하는 인구도 있지만 가장 시급한 것은 주거의 문제라고 생각했다.&n…
나눔과미래
16.07.14
568
2016-07-14
나눔과미래
정든마을 어르신들과 함께 하는 점심밥상
5월은 가정의 달이죠. 그래서 행사가 많습니다. 정든마을 주민운영위원회에서도 가정의 달을 어떻게 보내야 할까 고민했었어요. 그러다 마을 회장님이 제안하신 게 어르신 대접이었어요. 작년엔 아이들이 놀 수 있는 프로그램을 했으니 올해는 어르신들을 위한 것도 있어야 할 것 같다고. 국수부터 삼…
나눔과미래
16.07.14
473
2016-07-14
나눔과미래
성곽마을 네트워크 행사 ‘다 같이 돌자 성곽 한 바퀴’를 무사히 마쳤습니다.
4월 22일 수요일, 교남동 주민센터에서 성곽마을 주민들이 다 함께 모였습니다. 아침 일찍 조금 비가 내려 걱정되긴 했지만 행사가 시작될 때쯤에는 거짓말처럼 맑은 하늘을 볼 수 있었습니다. 먼저 센터 안에서 서울 KYC 도성길라잡이의 양승수님께서 성곽에 관련된 이…
나눔과미래
16.07.14
512
2016-07-14
나눔과미래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
처음
이전
31
페이지
열린
32
페이지
33
페이지
34
페이지
35
페이지
다음
맨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