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과미래 소개
나눔과미래
걸어온 길
조직
오시는 길
나눔과미래 활동
사무국
성북주거복지센터
종로주거복지센터
아침을여는집
따뜻한사회주택기금
주거재생팀
서울양천지역자활센터
커뮤니티
공지·알림
재정보고
활동가의시선
후원자의시선
자료실
뉴스레터 구독 ✉️
후원신청 💕
나눔과미래 소개
나눔과미래
걸어온 길
조직
오시는 길
나눔과미래 활동
사무국
성북주거복지센터
종로주거복지센터
아침을여는집
따뜻한사회주택기금
주거재생팀
서울양천지역자활센터
커뮤니티
공지·알림
재정보고
활동가의시선
후원자의시선
자료실
커뮤니티
Home
나눔과미래 소개
나눔과미래 활동
커뮤니티
공지·알림
재정보고
활동가의시선
후원자의시선
자료실
활동가의시선
사단법인 나눔과미래는 집 걱정없는 행복한 마을을 만드는 우리 마을 보금자리 지킴이 입니다.
전체 850건 25 페이지
제목
날짜
작성자
주민들에게 도시재생은 사업이 아닌 삶이다
주민 조직은 활동가의 역량만으로 되지 않는다. 어떻게 해야 주민들을 조직할 수 있는가? 올들어 도시재생사업을 전담하게 되면서 매일 하는 고민이다. 주민들에게 필요한 것이 어떤 것인가 찾고, 주민들을 만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만나서 우리가 생각하는 것을 얘기하고, 그들의 얘기를 듣고, 우리가 함께할 수 있는 접점을 찾고,…
나눔과미래
16.10.21
544
2016-10-21
나눔과미래
텅 비어있던 숲이 놀이터가 되다
성북구 석관동, 한국예술종합학교와 천장산 자락에 있는 의릉은 2009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면서 보호구역으로 관리되고 있다. 덕분에 의릉 주변은 개발제한지역으로 묶여 개발하지 주민들을 위한 공원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제법 넓은 부지 중에는 '의릉 앞 솔밭'이라 불리는 작은 소나무숲이 있다. 의릉이 석관동의 …
나눔과미래
16.10.21
662
2016-10-21
나눔과미래
두꺼비하우징은 왜 빈집에 주목했는가?
빈집은 흔히들 버려진 집, 폐가라고 생각한다. 두꺼비하우징은 1인 가구 공유주택(셰어하우스)사업을 추진하면서, 이 기존의 생각을 바꾸기로 했다. 빈집은 여러 이유로 기능과 용도를 잃어버리고 도시의 빈 공간으로 방치된 주택이다. 빈집은 버려진 집이 아니었다. 주거용도로써 기능을 상실하여 방치되었지만 재활용을 할 수 있는 '유…
나눔과미래
16.10.21
902
2016-10-21
나눔과미래
서울의 시대정신은 무엇일까
1945~1960 복구와 재건 1970~1990 개발과 확장 2000년대 회복과 치유(정상도시화) 2020이후는? 도시는 살아있다. 회색빛의 콘크리트 건물들이 검은 아스팔트, 녹색의 나무들과 조화를 이루며 생태계를 구성한다. 도시의 공간생태계는 도시인들의 숨결이 닿으면…
나눔과미래
16.10.06
595
2016-10-06
나눔과미래
1인가구의 시대, 격변이 시작되다
혼자사는 풍조의 확산과 함께 혼밥, 혼술이라는 말이 점점 낯설지 않게 느껴지는 요즘, ‘혼자’는 여러 의미로 다가온다. 한편으로는 세련된 솔로생활, 다른 한편으로는 외로운 현대 젊은이들의 생활패턴에 대한 안쓰러움으로, 그렇다. 바야흐로 1인가구가 대세가 되었다. 그런데 그 이면을 읽어보면 또 다른 걱정거리가 생긴다. 아래표를 보자 …
나눔과미래
16.10.06
563
2016-10-06
나눔과미래
‘사람’이 살았던, 살고 있는, 살아가야 할 집, 딜쿠샤
흉가는 문화재로 거주민은 무단점유자로 무더위가 맹위를 떨치던 8월초, 한통의 전화가 주거복지센터로 걸려왔다. “여보세요? 저는 딜쿠샤에 사는 사람인데요, 저희가 쫓겨나게 생겨서 도움을 요청하려고 여기저기 전화하다 연락하게 되었습니다.”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딜쿠샤라고 불리는 주택에 거주하고 있는데, 부모님부터 몇십 년을 살아온 곳이…
나눔과미래
16.10.06
1767
2016-10-06
나눔과미래
내 마음 따뜻한 삶은달걀처럼(feat.주거복지센터)
이른 아침, 양손 가득 바리바리 싼 짐을 들고 한 어르신이 센터를 찾았다. 양 손엔 빵과 음료, 그리고 삶은 달걀이 들려져있다. 얼마나 다급히 오셨는지 삶은 달걀의 온기가 여전히 그대로다. 고맙다는 말조차 전하기 미안해 직접 방문하셨다는 어르신, 정**(76세) 할머니를 처음 …
나눔과미래
16.10.06
725
2016-10-06
나눔과미래
나눔과 젊음이 숨쉬는 맛깔나는 공간에 입주하다!
두꺼비하우징과 공익활동가공제조합 동행의 합작품, 활동가들을 위한 사회주택에 입주하신 사단법인 자연의벗연구소 김래영 님의 글을 옮깁니다. 활동가가 가장 잘 활동할 수 있는 이유/여건은 무엇인가. 공익조합 동행은 이 부분을 너무나 잘 알고 있습니다. 저는 활동가들이 시민들과 함께 움직이면, 사회가 조금씩 좋은…
나눔과미래
16.10.06
509
2016-10-06
나눔과미래
“아이들에게 희망이 되주신 싱검 주교님, 이젠 저희가 주교님의 희망이 되어드릴게요”
거리의 아이들을 위해 기숙사와 학교를, 신분제와 종교 차별의 철폐를 위해 온 힘을 쏟았던 윌슨 싱검 주교님이 과로로 쓰러지셨습니다. 현재 폐에 물이 찬 데다 심장 수술도 필요할 수 있다고 합니다. 나눔과미래와 함께 한 주교님이 하루 빨리 건강한 모습으로 인도 아이들의 곁에 돌아올 수 있도록 여러분의 마음을 나누어주시길 바랍니다. …
나눔과미래
16.10.06
514
2016-10-06
나눔과미래
주거환경관리사업에서 주민참여가 잘되려면?
주거환경관리사업과 관련해 여러 공무원, 활동가들을 만나면서 언젠가부터 ‘교육만능주의’가 이 세계에 자리잡고 있다는 생각이 들 때가 많습니다. 주거환경관리사업이 잘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을 얘기할 때 가장 많이 나오는 말이 활동가 교육, 주민 교육입니다. 갈등 관…
나눔과미래
16.10.06
504
2016-10-06
나눔과미래
주민간에 의견이 갈렸다
나눔과미래는 정릉시장 맞은편에서 행복한 골목마을만들기 사업을 하고있다. 주민들의 의사와 동네 동태 파악에 주력해오다가 지난 8월 눈에 띄는 활동을 시작했는데, 골목 한켠의 주차장에 상자 텃밭을 조성하는 것이다. 전체 가구수에 비하면 적지만, 만들어진 텃밭상자에 비하면 적절한 수의 주민들이 모였다. 서로 처음보는 사이라 인사…
나눔과미래
16.10.06
517
2016-10-06
나눔과미래
벽보전쟁
마을활동가로 일하다보면 사업이나 프로그램 등을 홍보해야할 일이 자주 생긴다. 경중에 따라 온라인, 홍보부스, 소식지, 현수막, 입소문 등 다양한 홍보수단들이 전략적으로 동원된다. 하나하나 다 장단점이 있는 홍보수단들이지만, 오늘은 그 중에서도 주민들이 가장 많이, 또 가장 문턱없이 접근할 수 있는 홍보수단인 홍보 포스터(이하 벽보…
나눔과미래
16.10.06
778
2016-10-06
나눔과미래
한천마을 청소모임에서 배운 꾸준함의 힘, 학생들이 주체가 된 원동력
석관동 한천마을에서는 4월부터 격주로 청소모임을 진행중입니다. 벌써 8회째 진행중인 이 모임은 주민공동체에서 마을 내 쓰레기 문제를 해결해보고자 하는 노력에서 시작된 이 모임은 대여섯 명의 주민들과 봉사시간을 채우러 온 학생들이 주축이 되었습니다. 초기에는 활발하게 청소가 진행되었지만, 곧 더위가 찾아오자 바쁨, …
나눔과미래
16.09.13
690
2016-09-13
나눔과미래
도시재생의 시작! 석관동 희망지 사랑방 개소식을 진행했습니다
지난 8월 3일, 석관동 지역 도시재생 희망지 사업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사랑방 개소식이 있었습니다.
나눔과미래
16.08.16
763
2016-08-16
나눔과미래
도시재생에서 ‘주민참여’는 절차인가 필수인가
뉴타운사업으로 상징되는 전면 철거 방식의 도시개발은 이제 서서히 도시재생으로 대체되어 가고 있다. 수많은 정비사업 구역이 주민 다수의 의사로 해제되고 도시재생특별법의 제정과 뒤이은 전국적인 도시재생사업의 시행은 그런 흐름이 이제 대세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아직 도시재생이 도시인의 생활세계에 어떤 영향을 끼…
나눔과미래
16.08.12
522
2016-08-12
나눔과미래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
처음
이전
21
페이지
22
페이지
23
페이지
24
페이지
열린
25
페이지
다음
맨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