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과미래 소개
나눔과미래
걸어온 길
조직
오시는 길
나눔과미래 활동
사무국
성북주거복지센터
종로주거복지센터
아침을여는집
따뜻한사회주택기금
주거재생팀
서울양천지역자활센터
커뮤니티
공지·알림
재정보고
활동가의시선
후원자의시선
자료실
뉴스레터 구독 ✉️
후원신청 💕
나눔과미래 소개
나눔과미래
걸어온 길
조직
오시는 길
나눔과미래 활동
사무국
성북주거복지센터
종로주거복지센터
아침을여는집
따뜻한사회주택기금
주거재생팀
서울양천지역자활센터
커뮤니티
공지·알림
재정보고
활동가의시선
후원자의시선
자료실
커뮤니티
Home
나눔과미래 소개
나눔과미래 활동
커뮤니티
공지·알림
재정보고
활동가의시선
후원자의시선
자료실
활동가의시선
사단법인 나눔과미래는 집 걱정없는 행복한 마을을 만드는 우리 마을 보금자리 지킴이 입니다.
전체 850건 23 페이지
제목
날짜
작성자
지구단위계획 설명회의 현장에서
지구단위계획은 문서로만 봐왔는데, 드디어 직접 설명회에 참석할 기회를 얻었다. 도시재생 활동가로 다녔던 지역이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가 본 것이었다. 계획수립 용역사에서는 자신들이 세운 계획의 배경을 먼저 설명했고, 후에 주민들에게 실제로 영향을 끼칠만한 규제와 권장사항 등을 꺼내보였다. …
나눔과미래
17.03.03
518
2017-03-03
나눔과미래
2017년에 반상회라니
고등학생 때 부터 기숙사에 살며 근 9년동안 항상 공동체 주택에 살아왔다. 가족같이 지내는 경우도 있었고, 손 뻗으면 닿을 거리에 살 뿐 인사도 하지않는 경우도 있었다. 거실과 욕실을 공유하는 가족들끼리 규칙을 정해 본 적은 있지만 이집 저집 모이는 이런 반상회는 처음이었다. 각자의 생활이 바쁜 사회초년생이 대부분이라 그동안 …
나눔과미래
17.03.02
560
2017-03-02
나눔과미래
가난한 사람들의 부양, 국가의 책임이 우선이다
주거복지센터에서는 다양한 주거문제를 분들을 만난다. 그 중 임대료가 체납되어서 임대인에게 시달리거나 눈치를 보며 지내는 분들이 많은 편이다. 극단적으로는 2, 3개월의 월세체납으로 자살까지 시도했던 분들을 만나는 때도 있다. 그 들은 본인의 사정을 주민센터에 말해봤지만 ‘방법이 없다’거나 ‘일을 하시라’는 말을 들었던 …
나눔과미래
17.02.28
476
2017-02-28
나눔과미래
주택의 빈 공간을 지워나가는, 사회주택
민간임대주택은 정부의 주택정책에서 비어있는 영역이다. 그동안 민간임대주택은 불안정한 주택, 비싼 주택, 반주거복지적 주택이란 이미지가 강했다. 그래서인지 정책의 핵심 대상인적이 없었다. 영국인들의 인식처럼 한국인들에게 민간임대주택은 #레트머니즘 #Rachmanism 이 작동하는 주택이었다. 하지만 사회주택(공공임대주택 포함) 재고량이 절대 부족…
나눔과미래
17.02.24
510
2017-02-24
나눔과미래
두꺼비하우징, 산새마을 재생하다
2011년 봄, 은평구 두꺼비하우징사업이 시작됐다. 은평구청은 16개 주민자치센터(구 동사무소)에서 대상지 신청을 받았다. 신청접수 결과 10개의 대상지가 신청했다. 심사가 시작됐다. 최종 후보로 신사동 237번지일대(산새마을)과 응암동 산골마을이 올라왔다. 심사위원들의 논의는 치열했다. 몇 시간에 걸쳐 논의한 결과 두꺼비하우징사업 …
나눔과미래
17.02.24
699
2017-02-24
나눔과미래
상상하자 새로운 세계를!
2017년 1월 23일 서울혁신파크 2층에서 나눔과미래의 유관기관 활동가들을 대상으로 송경용 신부님이 '상상하라 새로운 세상을'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해주셨습니다. 세상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어떤 생각과 가치관을 가지고 살아야하는지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이기도 했습니다. 존 레논…
나눔과미래
17.02.22
445
2017-02-22
나눔과미래
낡은 골목안 늘어나는 빈 집 속에서도 희망을 찾는 도시와 사람들
다수가 새로 지은 집과 신차, 싹 바꾼 살림살이가 발전이란 키워드로 나와 가족의 정체성을 형성한다고 믿고 살아온 고도성장 시기의 한국의 도시는 이제 낡은 집과 손 때 묻은 물건을 잘 가꾸고 관리하면서 오랫동안 사용하는 것이 미덕이 되는 저성장의, 변화가 더딘 장소로 변화하고 있다. 사람의 풍경에서도 느리지만 분명한 …
나눔과미래
17.02.22
658
2017-02-22
나눔과미래
도시 재생의 목적은 주민 그 자체이다
재개발과 도시재생의 큰 차이는 주민의 교체 여부이다. 저소득층을 중산층으로 교체하는 사업이란 말도 있듯 재개발 사업의 경우 최소 50% 이상의 주민이 교체된다.(길음뉴타운 원주민 정착율 17%) 여기서 재개발과 도시재생의 목적의 차이를 알 수 있다. 재개발은 거주환경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누구의 거주환경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거주환경개선을 …
나눔과미래
17.02.21
555
2017-02-21
나눔과미래
석관동 희망지 2017년 첫 주민활동 소식
2016년 석관동 희망지사업에서 열심히 참여했던 석관동 주민들이 올해에도 활동을 이어가는데요~ 지난 1월에 어떤 주민활동이 있었는지 알려드립니다~ 2017년 1월 간 활동: -석관동 희망지사업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 제안서 작성 -주민협의체 모임 -각 분과별 기획회의 및 활동: 석관동마을투어, 마을…
나눔과미래
17.02.07
454
2017-02-07
나눔과미래
2016 주거복지센터 토론회 <서울시 주거복지센터 활동과 주거복지전달체계의 향후 과제>
지난 12월 22일, 주거복지에 있어서 주목할 만한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서울주거복지센터협회가 주최한 "주거복지센터 활동과 주거복지전달체계의 향후 과제" 주제로 하는 자리였는데요. 2015년 말 <주거기본법>, 2016년 <서울특별시 주거기본조례>가 제정 및 시행되면서 기존 민간위탁기관인 서울주거복지센터 …
나눔과미래
17.01.31
658
2017-01-31
나눔과미래
1월의 크리스마스, 두손 가득 선물을 받은 한달
"크리스마스가 다시 시작됐던 순간" 말 그대로 산타클로스와 같았습니다. 직접 선물을 전하러 나눔과미래의 사무실을 찾아오신 분이 있었는데요. 한국전력공사의 관계자 분들은 어려운 우리 이웃들이 보다 따뜻한 겨울을 날 수 있도록 도와줄 난방텐트를 양손 가득 들고 오셨습니다. 한파가 계속되는 1월,…
나눔과미래
17.01.26
520
2017-01-26
나눔과미래
6개월 공을 들인 행복한 골목만들기를 마치고
활동 지역은 지난 세대까지만 하더라도 개인주택이 많고 주민 간 왕래도 잦았지만 세월이 흘러 개인주택은 헐리고 점차 다세대 빌라 촌으로 변하고 있다. 자연스레 이웃관계도 소원해지고 있다. 이런 추세는 거주민의 고령화와 맞물려 관리되지 않는 주택 및 담장으로 드러나고 있었다. 주민들을 ‘위협’할 정도는 아니었…
나눔과미래
17.01.12
435
2017-01-12
나눔과미래
주거이동, 사다리 걷어차기!
#동맥경화증을_앓고_있는_공공임대주택 한국에서 공공임대주택의 공급은 언제나 선(善)이다. 여(與)와 야(野), 진보와 보수를 막론하고 공공임대주택을 안 짓겠다고 공식적으로 이야기하는 정치세력은 없다. 이는 한국의 주택문제가 그만큼 심각하다는 것과 주거복지 수준이 아직 낮다는 것을 반증(反證)하는 것이다. 노태우 정부의 영구임…
나눔과미래
17.01.12
702
2017-01-12
나눔과미래
석관동 한천마을 2016년 주민 송년회 이야기
지난 2016년 12월 26일(월)에 한천마을 주민송년회가 있었습니다. 주민공동체 모임을 대신하여 한천마을 주민공동체 활동 1년을 정리하면서, 사진과 영상도 같이 보면서 얘기하고 함께 맛있는 저녁도 먹는 시간을 보냈습니다. 우선, 오후 5시에 사랑방에 모여서 2016년 1~12월까지의 활동내용…
나눔과미래
17.01.04
480
2017-01-04
나눔과미래
사랑을 배달한 사랑찬 봉사자들, 1년동안 고마웠어요
매주 토요일, 홀로 지내는 어르신과 거동이 불편하신 분들을 위해 도시락을 만들고 배달하는 사랑찬 자원봉사자들이 있습니다. 연말, 시험기간 등등 바쁜 와중에도 꼬박 봉사에 참여하는 친구들이 고마워서, 소소한 송년회 자리를 마련해봤습니다. 이름하여, 2016년 사랑찬 송년회! 즐겁다 신난다 (결코 강요하는 …
나눔과미래
16.12.30
486
2016-12-30
나눔과미래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
처음
이전
21
페이지
22
페이지
열린
23
페이지
24
페이지
25
페이지
다음
맨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