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과미래 소개
나눔과미래
걸어온 길
조직
오시는 길
나눔과미래 활동
사무국
성북주거복지센터
종로주거복지센터
아침을여는집
따뜻한사회주택기금
주거재생팀
서울양천지역자활센터
커뮤니티
공지·알림
재정보고
활동가의시선
후원자의시선
자료실
뉴스레터 구독 ✉️
후원신청 💕
나눔과미래 소개
나눔과미래
걸어온 길
조직
오시는 길
나눔과미래 활동
사무국
성북주거복지센터
종로주거복지센터
아침을여는집
따뜻한사회주택기금
주거재생팀
서울양천지역자활센터
커뮤니티
공지·알림
재정보고
활동가의시선
후원자의시선
자료실
커뮤니티
Home
나눔과미래 소개
나눔과미래 활동
커뮤니티
공지·알림
재정보고
활동가의시선
후원자의시선
자료실
활동가의시선
사단법인 나눔과미래는 집 걱정없는 행복한 마을을 만드는 우리 마을 보금자리 지킴이 입니다.
전체 850건 17 페이지
제목
날짜
작성자
I Have a Dream!
흑인 인권 운동가, 마틴 루터 킹 목사에게는 꿈이 있었습니다. 모든 인간은 평등하게 창조되었다는 진리를 자명한 것으로 믿는 세상. 노예의 후손과 노예 주인의 후손이 형제애로 모인 식탁에 함께 앉을 수 있는 세상. 나의 어린 네 명의 아이들도 피부색이 아니라 그들의 인격으로 판단되는 세상... 목사님과는 비교할 …
나눔과미래
18.06.28
622
2018-06-28
나눔과미래
“학교는 또 하나의 가족” “훌륭한 사람이 되서 아빠랑 함께 살고 싶어요”
11살의 시바(Shiva)는 불가촉천민(이하 달릿)으로 태어났습니다. 달릿은 카스트 제도의 최하위 계층으로 태어난 것만으로도 죄를 지은 존재로 여겨집니다. 그래서 달릿의 아이들은 길거리에 죽은 동물 사체를 치우거나 구걸을 하며 살아갑니다. 시바도 마찬가였습니다. 아버지는 가족을 두고 떠나면서 엄마…
나눔과미래
18.06.28
629
2018-06-28
나눔과미래
청년이 만드는 청년 사회주택의 꿈
젊은 시절에 하는 고생은 보약이라는 말이 있지만 이 시대 청년들은 고생을 보약으로 여기기에는 너무 여러 가지 난관에 봉착해 있다. 삼포, 사포를 넘어 이제는 오포라는 슬픈 신조어가 쏟아지는 것만 봐도 청년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알 수 있다. 이 중에서 주거문제는 대가족이 보편적이어서 부모의 보호 아래 오랜 시간을 보냈거나 사글세나…
나눔과미래
18.06.28
697
2018-06-28
나눔과미래
사회적금융의 역할과 미래
전세계적으로 '사회적 경제' 주체는 그 사회가 가진 문제를 해결하기 목적을 가지고 시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인간이 존엄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력과 더불어,가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금융의 역할을 고민하고 개념을 재정립한 결과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 현실에서 보는 사회적 금융은 사회적 가치를 추구할 수…
나눔과미래
18.06.27
591
2018-06-27
나눔과미래
봉사자 모집> 어르신댁 짐나르기!!
올해 86세이신 신영희(가명)할머니는 가족이 없습니다. 언덕길 해가 잘 안들어오는 집에서 십몇년째 살고 계시지요. 다리도 아프고 바깥에 나가면 마음이 불안해 보통 집에서 생활하십니다. 늘 혼자 있는 집에 벽지가 누렇습니다. 곳곳에 찢어진 흔적들도 보입니다. 해가 잘 안들어오는 집에는 벽지에 물기가 …
나눔과미래
18.06.22
1121
2018-06-22
나눔과미래
사회적 부동산 공유 프로젝트 RE:Commoning 시민자산화의 첫 발을 내딛다.
사회적 부동산 공유 프로젝트 ’리:커머닝 선발대회’가 지난 27일 서울 혁신파크에서 처음 열렸습니다. 사단법인 나눔과미래의 시민자산화 사업의 일환으로 ’시민이 함께 소유하고 민주적으로 운영하는 사회적 부동산’으로 만드는 것으로 목표로 올해부터 본격적인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대회명인 리:커머닝(RE:Commoning)은 …
나눔과미래
18.05.31
966
2018-05-31
나눔과미래
종로구에도 주거복지센터가 생겼다. 잘 생겼다.
주민의 주거안정과 주거수준 향상을 위해 일하는 주거복지센터 월세가 체납되었거나 임대주택에 당첨이 되었는데 보증금이 부족하거나 전기, 수도, 가스 등의 공과금이 체납되었거나 집수리가 필요하거나 등등. 주거복지센터는 모든 주거문제를 상담하고 해결하는데 온갖 노력을 기울인다. …
나눔과미래
18.05.31
751
2018-05-31
나눔과미래
[보도자료] 2018 지방선거 <주거시민단체들의 8대 주거정책 요구안> 발표
2018 지방선거 <주거시민단체들의 8대 주거정책 요구안> 발표 지방정부가 반드시 해야 할 8개 분야 25개 세부 주거정책 요구 5/11부터 8개 정당, 78명 광역시도지사 후보에게 채택 여부 질의 각 지역에 맞는 주거 공약으로 주거 문제 해결 의지 밝혀야 …
나눔과미래
18.05.30
658
2018-05-30
나눔과미래
시흥5동 ‘행복한집’, ‘길날집’ 시흥5동에 집집마다 이름이 생긴 날
5월 18일 오후 세시, 한창 새뜰마을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금천구 시흥동의 작은 동네. 동네 초입 위치한 공터에, 작은 공방이 하나 차려졌습니다. 새뜰마을 사업의 일환으로 바로 ‘우리집만의 문패만들기’를 하고 있는데요. 헌데 이 곳의 문패는 흔히 생각하는 문…
나눔과미래
18.05.30
1082
2018-05-30
나눔과미래
2018년 유엔 주거권 특별 보고관 방한, 한국 주거 현실을 마주하다
2018년 5월 14일 ~ 23일 유엔 주거권 특별 보고관 레일라니 파르하 한국 방문 한국의 주거권 실태 조사 활동 및 결과 발표 5월 14일, ‘레일라니 파르하(Leilani Farha) UN주거권특별보고관(UN Special Rapporteur on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이하…
나눔과미래
18.05.30
816
2018-05-30
나눔과미래
사회주택의 미래를 엿보다-프란츠 슘니치 (Franz Sumnitsch) 방한 토론회를 마치고
오스트리아 비엔나의 대표적인 코하우징으로 알려져 있는 자그파브릭의 설계자인 Franz Sumnitsch(프란츠숨니치)와 함께 한 해외연사 초청 사회주택 포럼(2018.4.20)은 사회주택, 공동체주택이라는 새로운 주거형태의 실험이 한창 진행 중인 서울시와 한국사회에 새로운 상상력을 부여해 주었다.
나눔과미래
18.05.23
1490
2018-05-23
나눔과미래
[성북주거복지센터] 내 집을 찾아서(Finding My Home, 2018)
사진 출처: https://goo.gl/yPUmZF 2003년 픽사(PIXAR)에서 개봉한 영화 ‘니모를 찾아서(Finding Nemo, 2003)’는 인간에게 납치된 아기 물고기 니모가 바닷 속에서 겪는 모험 이야기를 담은 애니메이션 영화다. 영화는 아기 물고기 니모가 다시 집으로 돌아가기 위해 겪는 다양…
나눔과미래
18.04.30
959
2018-04-30
나눔과미래
봄이 먼저 찾아온 동네, 구로4동과 시흥 5동 그리고 청년마을
이제 막 봄, 꽃보다 먼저 봄의 기운을 전한 곳곳이 있습니다. 보다 살기 좋은 동네를 위해, 주민들이 먼저 고민하고 직접 뛰어다닌 구로4동과 시흥5동 바로 두 곳입니다.
나눔과미래
18.04.27
664
2018-04-27
나눔과미래
청년사회주택활동가들의 작당모의 ‘중간보고회’ 현장이야기
4월 14일 서울시사회주택종합지원센터와 한국사회주택협회가 한국타이어나눔재단 후원을 받아 추진하는 ‘청년 사회주택 활동가 육성사업-작당모의’가 중간 보고회를 가졌습니다. 비오는 주말임에도 불구하고 멘토-멘티들분들이 많이 참석하셨는데, 사회주택종합지원센터 이종석 매니져의 사회로 시작되었습니다.
나눔과미래
18.04.27
856
2018-04-27
나눔과미래
사회적 경제와 연계한 뉴딜사업 활성화
새정부의 지역재생 정책인 도시재생뉴딜사업은 주민참여를 기반으로 민간네트워크와 민관협력이 뒷받침될 때만이 성공할 수 있다. 주민만 참여하고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실질적인 협력체계가 필수적인 것이다. 참여가 필요한 핵심적인 조직인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등의 사회적경제기업은 지역재생의 과정에서 파트너로 …
나눔과미래
18.04.27
607
2018-04-27
나눔과미래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
처음
이전
16
페이지
열린
17
페이지
18
페이지
19
페이지
20
페이지
다음
맨끝